현대사회 제5의 전장(戰場), 사이버 세계의 정의!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현대사회 제5의 전장(戰場), 사이버 세계의 정의! 미국 국방부는 사이버공간을 공식적으로 육․해․공․우주에 이은 제5의 전장으로 간주한다. 사이버 감청은 1998년 ‘누군가의 엿들음(Somebody's list
웃자 웃자 - 코미디 세상^^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새벽에 다음주에 있을 국가안보 현장 책임자들에 대한 2시간의 실천적 강의안을 만들면서 화가 났다!정치인들은 앉아서 논의하면 되는 일을 쌈박질하고 두둘겨 부수고 천막농성 데모하며 난리법석인데, 정작, 간첩, 테러
국가안보법에 대한 학문적인 이해^^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우리의 정치권은 여당이나 야당이나 정작 핵심적인 쟁점 설정부터 잘못하고 있다^^ 정치적. 이념적 논쟁은 관심 없다. 학술 연구에 미련이 있을 뿐이다! 일국의 주권국가 대통령이 적대국가 군최고통수권자와 국외
사생활의 자유를 위한 폭로, 법적으로 누가 난민지위 자격을 가질까?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미국의 경우에 국가정보 기밀 누설자는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20-30년형은 보통이다. NSA의 계약직 기술자였던 스노든이 "지구상에 더 이상 비밀공간은 없다. 나는 이런 곳에서 살고 싶지 않다"고 인권(사생활의
남재준 국가정보원장에 바란다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국가정보원의 새로운 조타수가 된 남재준 원장은 전임자의 전철을 반면교사로 삼아, 국가정보 체계를 다잡고 국가안보 수호의 역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남 원장의 애국심과 군인으로서의 올바른 자세는 유명하다. 하지만 국

검찰의 국정원 수사 올바로 가고 있는가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지난해 대선 때부터 경찰 수사로 시작된 국정원 댓글 의혹사건에 대한 수사가 아직도 진행 중이다. 검찰 수사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의 줄소환 조사와 각종 비밀문건의 확인, 국정원에 대한 압수수색으로 이어졌다.
Whistle-Blower(휘슬 블로어)와 Deep Throat(딥-스로트, 내부고발자 또는 밀고자) !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와우! 광주의 딸^^ 휘슬 블로어의 기념비적인 사례가 될까? 아니면 거꾸로 일까?개방성과 민주성을 지향하는 법치국가에서 공공기관의 내부고발자를 보호해야 함은 당연하다. 우리의 경우에도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
나는 평양 스타일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DPRK)은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공식명칭이다. 조선반도에 있는 인민이 주인인 민주주의 국가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현실은 어떤가? 북한 주민은 전쟁에 인질 담보되어 있고, 굶주리는 주민이 약 2
FBI 뮐러 국장의 말에서 배우는 국가안보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과 중요성! 대한민국 국가안보 체계 제대로 구축되는가?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Message from FBI Director Robert S. Mueller: During this long week, we have seen an extraordinary effort by law enfor
국가안보 전문가를 양성하는 로스쿨이 한곳이라도 있어야 하는데^^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초급 수준의 핵무기를 가지고 강경파와 손잡은 29세 김정은은 ‘말’로 할 수 있는 도발은 다 했다. 3차 핵실험 성공의 자신감으로 정전협정 백지화, 최후 결전의 시각, 개성공단 폐쇄 등 극언과 만행을 아끼지 않는다.

[열린세상] 국정원 요원 인터넷 댓글 경찰수사 옳을까?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국민행복시대를 표방한 박근혜 정부가 출범했다. 그런데 행복의 전제인 국가안보가 몸살을 앓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북한이 3차 핵실험을 강행했고, 대내적으로는 국가정보원 요원의 인터넷 댓글이 정치 개입이란 의심을 받으
국가정보와 국가수사체계의 혁신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어제 경북대학교에서 개최된 한국정부학회에서 "21세기 글로벌 경쟁 환경에 따른 국가수사력과 국가정보 체계의 제도개혁" 이라는 주제로 주제발표를 했다. 검찰. 경찰의 수사권 조정이나 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의 창설이
청와대 국가안보실이 해답일까? Own the Street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미국 로스쿨 국가안보법(National Security LAW) 같은 공부를 조금이라도 하면 해답은 나오는데, 2007년 영국의 중대조직범죄청(Socca)의 창설도 국가안보의 확보책이 무엇인줄을 잘 말해준다.
진정한 자율적인 개인으로서의 가치가 전제된 올바른 시민의식~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아침에 무겁지 않으면서도 스스로를 돌아보게 하는 좋은 글을 읽었다. 전문가라는 사람들조차도 거의 정치인이 되어 가는 오늘날 시민의식의 소중함을 잘 일깨워 준다. 2012년 12월, 한국 知性은 공백
국가정보체계 혁신 공약 내놔야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글로벌 트렌드 2025』는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가 5년마다 발간하는 가장 실천적인 지구 미래 예측 보고서다. 이 보고서는 세계화의 명암, 늙어가는 세계, 중심이 사라진 국제정치, 에너지와 식량자원의 위기,
안전이 진정한 복지다!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2020년 10월 여전히 세계 초강대국인 미국 대통령의 백악관일지가 공개되었다. “(하늘이 뚫린 것과 같은) 10월 쇼크가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 마치 제2차 세계대전 같았다. 왜 허리케인 시즌이 유엔 총회와 맞물
각종 정치공학 산법에서 정의는 과연 무었일까?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마이클 샌델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열풍이 대한민국을 휘몰아친 것이 엊그제이다. 정의의 광풍과 더불어 대한민국에는 정의로운 행동이 더욱 많아질 것으로 기대했었다. 그런데 진정으로 정의로운 사회는 정치가 그 역
경제민주화와 복지! 정의는 과연 무엇인가?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지난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년 대비 1.6%로 떨어졌다. 하지만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3인의 대선후보들은 복지와 경제민주화 정책을 계속밀고 나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대기업 개혁이 오히려 경제를 살리는
대한민국 아싸! 아싸^^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요즘 CNN이나 BBC 등 국제 주요언론은 심심치 않게 "한국이 세계를 지배한다"는 기사를 내 보낸다. 심지어 국가안보법 분야에서는 중국의 국가정보기구의 하나로 분류하는 중국의 신화사통신도 대한민국의 국제적으
안철수 후보에게 기대하는 정치혁신
한희원
| 법학교수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서울신문 칼럼리...
안철수 교수가 지난달 19일 구세군 아트홀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또 지난 7일에는 일곱 가지 정책 비전을 발표했다. 하지만 출마선언 회견문이나 정책공약문에서는 국정을 담당할 최고책임자로서의 구체적인 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