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부모 면접교섭권', 그 필요성과 현행법상 실현 가능성
법무법인 가족
이혼소송은 이혼 자체만 문제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혼소송은 이혼뿐만 아니라 위자료와 재산분할 등 재산문제와 친권자(양육자) 지정과 양육비 등 미성년 자녀의 양육문제도 함께 다투어 진다.
'부양에 관한 심판', 법원이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법무법인 가족
부부 일방이 다른 배우자를 상대로 부양의무의 이행을 구하는 심판청구를 하여 심판이 확정된 경우 법원이 임의로 부양에 관한 심판을 변경할 수 있을까. 2011년 혼인한 X(남)와 Y(여)는 4살된 딸과
'부부간 부양에 관한 협정', 법원이 임의로 변경할 수 있나?
법무법인 가족
부부가 이혼을 하면서 부양에 관한 협정을 한 경우 법원(지방법원)이 임의로 부양에 관한 협정을 변경할 수 있을까? 슬하에 두 딸을 두고 있는 A남과 B녀는 이혼을 하게 되었다. A남이 이혼을 요구하였고
대법원, "친권자 및 양육자 정하지 않은 이혼판결은 위법"
법무법인 가족
'추가판결' 대상이라고 본 것은 일부판결의 법리오해한 듯 미성년 자녀를 두고 있는 부부 사이의 이혼사건에서 이혼판결을 하면서 미성년 자녀의 친권자 및 양육자를 지정하지 않은 것은 위법
'별거' 및 '이혼'과 '부부간 부양의무'
법무법인 가족
1.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와 관련된 문제 가. 지난 2015. 6. 26. 대법원은 재판상 이혼 사유와 관련하여 이른바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를 받아들일 것인가를 두고 공개변론을 열었다. 재판상 이혼사유
'부양법', 가족법상 독자성을 찾아서
법무법인 가족
1. 문제의 소재 최근 법률체계상 근간이 되는 기본법이라고 할 수 있는 법률 중 민법의 친족편은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자주 개정되었다. 그만큼 종전 민법 중 친족편의 규정이 실제 사회관계를 제
‘양육비 채권’의 본질에 관하여
법무법인 가족
1. 문제점 최근에는 실무운용과 입법 등에서 가사소송(특히 이혼소송)에서 미성년 자녀에 대한 배려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전 이혼소송 실무를 보면 부모의 이혼에 부수되어 처리해야 되는 일 정도로
'양육권' 개념의 필요성 및 유용성에 관하여
법무법인 가족
1. 문제점 종전 이혼소송 실무상 부부 사이에 미성년 자녀가 있는 경우 친권자를 지정함과 동시에 양육자를 지정해 왔다. 또한, 강학상 및 실무상 친권이라는 개념과 별도로 양육권이라는 개념을 사용
'친권의 본질'에 관한 시론 : 친권은 권리인가?
법무법인 가족
1. 문제점 이혼소송을 비롯한 가사소송이나 가족법적 쟁점이 있는 민사소송을 수행하거나 법률상담을 하면서 평소 들었던 의문점 중 ‘친권’의 본질에 관하여 시험적인 논의를 해 보고자 한다. 최근에는
‘가족법’에서 ‘이혼법’의 과잉현상
법무법인 가족
1. 가족법이란 ‘가족법’이라고 하면 민법 제4편 친족과 제5편 상속을 포함하여 친족상속법의 의미로 사용하기도 하고, 상속법의 재산법적인 성격 때문에 민법 제4편 친족만을 의
중혼적 사실혼 상태 혼외자 출생신고, 간통죄냐 아동학대죄냐
법무법인 가족
간통죄 2년 이하 징역, 아동학대죄 5년 이하 징역 간통죄로 처벌받을 위험은 출생신고 미루는 정당한 사유 될 수 없어 <중혼적 사실혼 상태에서 태어난 혼인외의 자> 남양주시에 살고 있는 조연아씨
왜 황혼에 이혼을 결심할까
법무법인 가족
이혼이라는 것은 가장 슬픈 법률행위라고 할 수 있다. 정신이 제대로 박힌 사람이라면 이혼이 좋다고 할 사람은 없다. 이혼은 궁여지책이다. 오죽하면 이혼을 결심하게 될까. 이혼은 더 행복해지기 위한 수단이
이혼, 전염성 높은 법률행위
법무법인 가족
이제 추석 연휴가 끝났다. 명절은 연휴라는 것, 부모님을 비롯한 가족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기쁜 일이다. 그런데, 추석이나 설 등 명절 때가 되면 마냥 좋아할 수만은 없다. 아이러니하게도 명절은 이혼과 무관하지 않
학교폭력 무엇이 문제인가?
법무법인 가족
학교폭력 문제가 심상찮다. 학교폭력에 시달리던 학생이 자살을 하는 사건은 한두 번이 아니다. 학교 폭력 문제는 아무도 해결할 수 없을 것 같아 보인다. 학교폭력의 양상은 매우 복잡하다. 학교폭력 사건은 일반 성
서울가정법원 '양재동 시대' 개막
법무법인 가족
서초동은 법조타운의 대명사다. 법조타운은 서초동이고, 서초동이 곧 법조타운이었다. 이번 달부터는 양재동에 본격적인 새로운 법조타운 시대가 시작된다. 서울행정법원은 2